보덕
보덕 | |
---|---|
법명 | 보덕(普德) |
출생 | 미상 고구려 용강현(龍岡縣) |
입적 | 미상 미상 |
속명 | 미상 |
종파 | 열반종 |
출가 | 미상 |
제자 | 무상(無上), 적멸(寂滅), 의융(義融), 지수(智數), 일승(一乘), 심정(心正), 대원(大原), 수정(水淨), 사대(四大), 개원(開原), 명덕(明德) |
한국의 불교 |
---|
보덕(普德, 생몰년 미상)은 고구려 말기의 승려이다.[1] 자는 지법(智法)이다.
개요
[편집]《삼국유사》에 따르면 그는 전고려(고구려) 용강현 출신으로[2] 출가해서 반룡산(盤龍山) 연복사(延福寺)에 주석하였으며[1] 평양(平壤)에서 산골 노승의 요청으로 《열반경》(涅槃經) 40권을 강론하였고,[3] 강론을 마친 뒤에 평양 서쪽 대보산(大寶山)의 바위굴 아래에 이르러 참선하다 신인의 계시를 받고 신인이 알려준 땅을 파서 8면 7층의 석탑을 찾아냈고, 탑을 찾은 자리에 영탑사(靈塔寺)를 지었다고 한다.[4]
한편 고구려 말기 도교(道敎)가 당(唐)에서 유입되고, 이어 쿠데타를 일으켜 보장왕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한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에 의해 적극적인 도교 진흥책이 펼쳐지면서 사찰이 몰수되어 도관으로 개조되는 등 불교에 대한 억불 사건이 벌어지자, 보덕은 도교와 불교가 서로 충돌하게 되면 나라가 위태롭게 될 것이라 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650년(혹은 667년 3월 3일)[5] 고구려를 떠나 백제로 갔다고 한다(비래방장 설화).[6] 이후 완산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고, 그의 제자 11명이 각각 절을 세워 열반종을 포교했다.[1][6]
보덕이 주석했던 전주 경복사는 비래방장(飛來方丈)이라 불리며, 조선 시대까지 보덕의 초상화를 모신 존영각으로 쓰였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이었던 대각국사 의천이 1092년 경복사를 방문해서 보덕의 영정에 참배하고 시를 남겼는데, 그의 시에는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이 보덕으로부터 《열반경》을 배웠다고 적고 있다.[6][7]
비래방장(飛來方丈)
[편집]《삼국유사》에는 보덕이 신통력으로 자신의 거처 즉 방장을 허공에 띄워서 하룻밤 만에 평양에서 전주로 날아왔다고 적고 있다.[6] 고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있는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에도 비래방장 설화가 실려 있는데, 어느 날 보덕이 자신의 제자들을 불러 "고구려가 도교만을 존숭하고 불법을 숭상하지 않으니, 이 나라는 반드시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피난을 해야 하겠는데 어느 곳이 좋을까?"라고 물었고, 제자 명덕(明德)이 "전주에 있는 고달산(高達山)이 바로 편안히 머무를 만한 땅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건봉(乾封) 2년(667년, 보장왕 26년) 정묘 3월 3일에 제자가 문을 열고 나와 보니, 당(堂)이 이미 고달산으로 옮겨와 있었고, 원래 있던 반룡산과는 1천여 리나 떨어져 있는 거리였다.[8]
각주
[편집]- ↑ 가 나 다 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보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 《신증동국여지승람》 권52 평안도 용강현조에 의성산(依城山)에 보덕사라는 이름의 사찰이 있었다고 언급하고 있으나, 보덕과의 연관성은 알 수 없다.
- ↑ 《열반경》의 한역은 동진의 법현(法顯)이 418년 《대반니원경》(大般泥洹經)을 번역하고(남본) 북량(北凉)의 담무참(曇無懺)이 421년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번역하며(북본) 성행하였고 또 양에서 종래의 학설을 집대성한 《대반열반경집해》(大般涅槃經集解)가 편찬되고 열반학파가 형성되었으나 후일 삼론학과 천태학으로 흡수되었다. 보덕이 강의한 《열반경》40권은 북본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고구려 불교의 주류였던 삼론학의 경우 중국에서의 삼론학은 《열반경》의 여래장(如來藏) 사상을 수용하여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사상을 전개한 것이 특색이고 보덕의 연구도 이에 입각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 ↑ 삼국유사 권3 탑상(塔像)제4 고려영탑사(高麗靈塔寺).
- ↑ 정선여는 650년은 보덕이 고구려를 떠난 해이고, 667년 3월 3일은 보덕이 고구려를 떠나서 전주 경복사에 정착한 시점이라고 해석하였다(정선여 《고구려 불교사 연구》 서경문화사, 2007).
- ↑ 가 나 다 라 《삼국유사》 권제3, 흥법(興法)제3, 보장봉노보덕이암.
- ↑ 《대각국사문집》권17 '고대산 경복사 비래방장의 보덕성사의 진영에 예배하다'.
- ↑ 《동국이상국전집》 권23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
참고 문헌
[편집]- 정선여 《고구려 불교사 연구》 서경문화사, 200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