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규범윤리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규범윤리학
윤리학의 사고 실험 중 하나인 광차 문제
학문명규범 윤리학
학문 분야윤리학

규범윤리학윤리적 행동에 대한 연구이며 도덕적 의미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관해 발생하는 질문을 조사하는 철학 윤리의 한 분야이다.

규범 윤리는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을 검토하는 반면, 메타윤리학은 도덕적 언어의 의미와 도덕적 사실 형이상학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메타 윤리와 구별된다. 마찬가지로 규범 윤리는 특정 문제의 윤리보다는 '누가 되어야 하는가'에 더 관심이 있다는 점에서 응용윤리학과 구별된다.도덕 실재론에 대한 메타윤리적 관점의 특정 버전에서 도덕적 사실은 서술적이면서 동시에 규범적이기도 하다.

적절한 정당화에는 해당 원칙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왜 이러한 목표, 금지 사항 등이 다른 것이 아니라 가중치를 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어야 한다. 원칙에 대한 일관된 설명이 제공되지 않거나 추가 정당화가 필요하지 않음을 입증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으며 거부할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 이론에서는 설명이 필요하다.[1]

대부분의 전통적인 도덕 이론은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를 결정하는 원칙에 기초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전 이론에는 공리주의, 칸트주의 및 일부 형태의 계약주의가 포함된다. 이 이론들은 주로 어려운 도덕적 결정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도덕 원칙의 사용을 제안했다.

규범 윤리 이론

[편집]

행동, 규칙 또는 처분에 윤리적인 힘을 부여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있다. 도덕적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 가지 경쟁적인 견해가 있으며, 각각의 요소를 결합하는 하이브리드 입장도 있다: 덕 윤리, 의무론적 윤리 ; 그리고 결과주의 . 전자는 연기하는 사람들의 성격에 초점을 맞춘다. 이에 반해 의무론적 윤리와 결과론은 모두 행위, 지배, 성품 자체의 지위에 초점을 맞추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옹호하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일부 측면을 지지하는 덕 윤리는 특정 행동보다는 개인의 고유한 성격에 초점을 맞춘다.[2] 앤스콤, , 매킨타이어, 애들러, 마리탱과 같은 철학자들의 작업을 통해 지난 반세기 동안 덕 윤리의 중요한 부흥이 있었다.

의무론은 자신의 의무와 권리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부 의무론적 이론은 다음과 같다.

결과주의는 행동의 도덕성이 행동의 결과 또는 결과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귀중하다고 생각하는 것(즉, 공리론 )이 다양한 결과주의 이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으로 이어지는 행동이 옳다고 주장한다.
  • 국가 결과주의 또는 묵가적 결과주의는 질서, 물질적 부, 인구 증가를 통해 국가 복지로 이어지는 경우 행동이 옳다고 주장한다.
  • 이기주의(Egoism )는 도덕적인 사람이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는 믿음으로, 그 행위가 자기 이익을 극대화할 때 옳다고 주장한다.
  • 상황 윤리는 행위를 윤리적으로 평가할 때 행위의 특정 맥락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기독교적 상황윤리학에서는 올바른 행동이 가장 사랑스러운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며, 사랑 은 항상 사람들의 목표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 지성주의 는 지식을 가장 잘 육성하고 증진하는 행동이 최선의 행동이라고 말한다.
  • 복지 최선의 조치가 경제 대부분 증가 웰빙 복지되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 최선의 행동이 가장 전반적인 선호 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선호 공리주의 .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agan, Shelly (1989). 《The Limits of Morality》. Oxford: Clarendon Press. 13쪽. 
  2. D. O. Thomas, Obedience to Conscience,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New Series, Vol. 64 (1963 - 1964), pp. 243-25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