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모륨

화학 원소의 하나

리버모륨(←영어: livermorium 리버모리엄[*], 독일어: Livermorium 리베르모리움[*])은 인공적으로 합성한 방사성 동위 원소로 원소기호 Lv(←라틴어: livermorium 리베르모리움[*]), 원소번호 116번이다. 4개의 동위 원소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으며 반감기가 가장 긴 것은 리버모륨-293으로 반감기는 61밀리초이다.

리버모륨(116Lv)
개요
영어명Livermorium
주기율표 정보
수소 (반응성 비금속)
헬륨 (비활성 기체)
리튬 (알칼리 금속)
베릴륨 (알칼리 토금속)
붕소 (준금속)
탄소 (반응성 비금속)
질소 (반응성 비금속)
산소 (반응성 비금속)
플루오린 (반응성 비금속)
네온 (비활성 기체)
나트륨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알칼리 토금속)
알루미늄 (전이후 금속)
규소 (준금속)
인 (반응성 비금속)
황 (반응성 비금속)
염소 (반응성 비금속)
아르곤 (비활성 기체)
칼륨 (알칼리 금속)
칼슘 (알칼리 토금속)
스칸듐 (전이 금속)
타이타늄 (전이 금속)
바나듐 (전이 금속)
크로뮴 (전이 금속)
망가니즈 (전이 금속)
철 (전이 금속)
코발트 (전이 금속)
니켈 (전이 금속)
구리 (전이 금속)
아연 (전이후 금속)
갈륨 (전이후 금속)
저마늄 (준금속)
비소 (준금속)
셀레늄 (반응성 비금속)
브로민 (반응성 비금속)
크립톤 (비활성 기체)
루비듐 (알칼리 금속)
스트론튬 (알칼리 토금속)
이트륨 (전이 금속)
지르코늄 (전이 금속)
나이오븀 (전이 금속)
몰리브데넘 (전이 금속)
테크네튬 (전이 금속)
루테늄 (전이 금속)
로듐 (전이 금속)
팔라듐 (전이 금속)
은 (전이 금속)
카드뮴 (전이후 금속)
인듐 (전이후 금속)
주석 (전이후 금속)
안티모니 (준금속)
텔루륨 (준금속)
아이오딘 (반응성 비금속)
제논 (비활성 기체)
세슘 (알칼리 금속)
바륨 (알칼리 토금속)
란타넘 (란타넘족)
세륨 (란타넘족)
프라세오디뮴 (란타넘족)
네오디뮴 (란타넘족)
프로메튬 (란타넘족)
사마륨 (란타넘족)
유로퓸 (란타넘족)
가돌리늄 (란타넘족)
터븀 (란타넘족)
디스프로슘 (란타넘족)
홀뮴 (란타넘족)
어븀 (란타넘족)
툴륨 (란타넘족)
이터븀 (란타넘족)
루테튬 (란타넘족)
하프늄 (전이 금속)
탄탈럼 (전이 금속)
텅스텐 (전이 금속)
레늄 (전이 금속)
오스뮴 (전이 금속)
이리듐 (전이 금속)
백금 (전이 금속)
금 (전이 금속)
수은 (전이후 금속)
탈륨 (전이후 금속)
납 (전이후 금속)
비스무트 (전이후 금속)
폴로늄 (전이후 금속)
아스타틴 (준금속)
라돈 (비활성 기체)
프랑슘 (알칼리 금속)
라듐 (알칼리 토금속)
악티늄 (악티늄족)
토륨 (악티늄족)
프로트악티늄 (악티늄족)
우라늄 (악티늄족)
넵투늄 (악티늄족)
플루토늄 (악티늄족)
아메리슘 (악티늄족)
퀴륨 (악티늄족)
버클륨 (악티늄족)
캘리포늄 (악티늄족)
아인슈타이늄 (악티늄족)
페르뮴 (악티늄족)
멘델레븀 (악티늄족)
노벨륨 (악티늄족)
로렌슘 (악티늄족)
러더포듐 (전이 금속)
더브늄 (전이 금속)
시보귬 (전이 금속)
보륨 (전이 금속)
하슘 (전이 금속)
마이트너륨 (화학적 특성 불명)
다름슈타튬 (화학적 특성 불명)
뢴트게늄 (화학적 특성 불명)
코페르니슘 (전이후 금속)
니호늄 (화학적 특성 불명)
플레로븀 (화학적 특성 불명)
모스코븀 (화학적 특성 불명)
리버모륨 (화학적 특성 불명)
테네신 (화학적 특성 불명)
오가네손 (화학적 특성 불명)
Po

Lv

Uhh
McLvTs
원자 번호 (Z)116
16족
주기7주기
구역p-구역
화학 계열전이후 금속
전자 배열(추정) [Rn] 5f14 6d10 7s2 7p4
준위전자2, 8, 18, 32, 32, 18, 6
리버모륨의 전자껍질 (2, 8, 18, 32, 32, 18, 6)
리버모륨의 전자껍질 (2, 8, 18, 32, 32, 18, 6)
물리적 성질
겉보기불명
상태 (STP)(추정) 고체
원자의 성질
그 밖의 성질
CAS 번호54100-71-9
동위체 존재비 반감기 DM DE
(MeV)
DP
293Lv 인공 61 ms α 10.54 289Fl
292Lv 인공 18 ms α 10.66 288Fl
291Lv 인공 18 ms α 10.74 287Fl
290Lv 인공 7.1 ms α 10.84 286Fl
보기  토론  편집 | 출처

발견

편집

2000년 7월 19일 두브나 FLNR 과학 연구소에서 퀴륨-248을 칼슘-48을 타겟으로 하여 충돌시켜 리버모륨을 합성하였다. 발견을 공포한 것은 2000년 12월 때이다.[1] 우눈헥슘은 10.54 메가전자볼트의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리버모륨-292로 만들어졌으며 18밀리초 뒤 플레로븀-289로 붕괴하였다. 그러나 플레로븀-289로 붕괴한 뒤 원소는 곧 없어져 버렸으며, 다시 합성하여 리버모륨-296을 만들어 내었다. 이 때는 2001년 4월에서 5월에 걸쳐서 실험하였다.[2]

 

리버모륨-296은 곧 리버모륨-293으로 붕괴하였고, 61밀리초의 반감기를 거쳐 플레로븀-289로 다시 붕괴하였다.[2]

이름

편집

당시 제안되었던 이름으로는 Flerovium (Fl), Butlerovium (Bu), Rossium (Ro, Rs) 등이 있었는데, 12월 1일에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 연맹(IUPAC)에서 리버모륨(Livermorium, 기호 Lv)으로 최종 확정하여 5개월 동안 반대 의사를 표명하도록 한 결과, 이 이름이 확정되었다. 이 원소의 발견은 러시아의 두브나 핵연구소와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리버모어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간 공동으로 수행한 실험의 결과인데, 연구소 지역과 연구소 이름인 '리버모어'를 따서 지었다고 한다..

리버모륨의 성질

편집

산화수

편집

리버모륨의 산화수는 +6가 또는 +7가로 보통의 16족 원소, 즉 산소족원소보다 큰 편이다. 보통 산화수는 +6 ~ +7 정도이나 종류에 따라 +2, +3, +4, +5, +6, +7까지 가지각색이다.

화학

편집

화학에서는 리버모륨을 에카-폴로늄으로 불렀다. 리버모륨은 아마도 안정된 산화물인 과산화리버모륨, 즉 LvO3를 생성할 것으로 추측되나, 아직 미발견되었다. 산화수가 +2가라면 리버모륨은 1개의 산소와 이온 결합을 하여 산화리버모륨, 즉 LvO를 생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리버모륨을 플루오르화한다면, 사플루오르화리버모륨, 즉 LvF4를 생성하거나 이플루오르화리버모륨, 즉 LvF2를 생성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리버모륨을 염화, 브롬화하면 각각 이염화리버모륨, 즉 LvCl2와 이브롬화리버모륨, 즉 LvBr2를 생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리버모륨이 요오드화한다면 요오드화리버모륨, 즉 LvI2을 생성할 것으로 보인다.

핵합성

편집

리버모륨을 합성하기 위한 표적과 충돌시킨 원자의 조합

편집

아래 표는 리버모륨을 합성하기 위한 표적과 충돌시킨 원자의 조합이다.

표적 충돌시킨 원자 생성물 반응 결과
208Pb 82Se 290Lv 실패
232Th 58Fe 290Lv 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238U 54Cr 292Lv 실패
244Pu 50Ti 294Lv 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248Cm 48Ca 296Lv 성공
246Cm 48Ca 294Lv 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245Cm 48Ca 293Lv 성공
249Cf 40Ar 289Lv 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저온 핵융합

편집

납-208과 셀레늄-82의 반응

편집

1998년에 합성을 시도한 방법으로, -208을 타겟으로 하여 셀레늄-82를 충돌하여 리버모륨-290을 합성하려고 했지만 실패하였다.

고온 핵융합

편집

238U(54Cr,xn)292−xLv

편집

1998년에 합성한 방법으로, 우라늄-238을 타겟으로 하여 크로뮴-54를 충돌하여 리버모륨-292를 합성하려 했지만 실패하였다.[3]

248Cm(48Ca,xn)296−xLv (x=3,4)

편집

로렌스 리버모어 국제연구소와 두브나 FLNR 과학 연구소에서 실시한 방법으로, 퀴륨-248을 타겟으로 하여 칼슘-48을 충돌시켰다.[4] 그러나 첫 번째 실험에서는 실패하였으며, 두 번째 실험을 실시하여 합성에 성공하였다.[5]

245Cm(48Ca,xn)293−xLv (x=2,3)

편집

2003년에 실시한 합성 방법이다. 퀴륨-245를 타겟으로 하여 칼슘-48을 충돌시켜 각각 291Lv와 290Lv를 합성하였다.[6] 2005년에는 이 방법 하나로 10개의 동위 원소를 만들었다.[7]

오가네손→리버모륨 반응

편집

오가네손의 합성 실험을 실시한 뒤에 리버모륨 합성 실험을 실시한 경우도 있었다. 이는 2006년에 실시한 가장 최근의 합성 실험 반응이다.

리버모륨의 동위 원소

편집
동위 원소 발견 연도 발견 방법
290Lv 2002 249Cf(48Ca,3n)[8]
291Lv 2003 245Cm(48Ca,2n)[6]
292Lv 2004 248Cm(48Ca,4n)[9]
293Lv 2000 248Cm(48Ca,3n)[1]

각주

편집
  1. "Observation of the decay of 29211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Oganessian et al., Phys. Rev. C 63, 011301 (2000). Retrieved 2008-03-03
  2. "Confirmed results of the 248Cm(48Ca,4n)292116 experiment" Archived 2016년 1월 30일 - 웨이백 머신, Patin et al., LLNL report (2003). Retrieved 2008-03-03
  3. "List of experiments 2000-2006". 2007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3일에 확인함. 
  4. “Search for Superheavy Elements in the Bombardment of 248Cm with 48C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Attempts to Produce Superheavy Elements by Fusion of 48Ca with 248Cm in the Bombarding Energy Range of 4.5-5.2 MeV/u”.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for the fusion-evaporation reactions 244Pu(48Ca,xn)292−x114 and 245Cm(48Ca,xn)293−x116", Oganessian et al., Phys. Rev. C 69, 054607 (2004). Retrieved 2008-03-03
  7. "Synthesi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8 and 116 in the 249Cf and 245Cm+48Ca fusion reaction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Oganessian et al., Phys. Rev. C 74, 044602 (2006). Retrieved 2008-03-03
  8. see 우누녹튬
  9.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and decay propertie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2, 114, and 116 produced in the fusion reactions 233,238U , 242Pu , and 248Cm+48Ca"[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Oganessian et al., Phys. Rev. C 70, 064609 (2004). Retrieved 2008-03-03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